실시간 뉴스 [시경] 봄이 오는 뚝길을 걸으며-환지통.4/윤석산 [이희용의 글로벌시대] 한국과 일본의 국운 가른 150년 전의 선택 [몰틀알틀우리말] 들러/벌여 [몰틀알틀우리말] 결제/결재 [시경] 산벚꽃을 보며 / 전재승
[시경] 봄이 오는 뚝길 시경詩鏡 - 시의 거울에 마음을 비추어보다 <박정자... [이희용의 글로벌시대]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인 1868년 4월 6일, 일본 메이지(... [몰틀알틀우리말] 들러 “줄게 있어. 퇴근 길에 내 사무실에 꼭 들려.” “...
실시간 칼럼기사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 (최종)2017/04/13 16:06 5. 인도네시아와 주변 국가의 불교문화 개황 글: 양승윤 한국외대 명예교수 / 가자마다대 초빙교수 다음글은 2017년 3월 2일자 불교평론에 게재된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라는 제목의 글을 불교평론으로부터 허락을 받아 총 5회에 걸쳐 데일리...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 (3ㆍ4)2017/04/09 21:48 3. 스리비자야 왕국과 구법승들 글: 양승윤 한국외대 명예교수 / 가자마다대학교 초빙교수 다음글은 2017년 3월 2일자 불교평론에 게재된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라는 제목의 글을 불교평론으로부터 허락을 받아 데일리인도네시아에 ... [이성수]그리운 명륜여인숙-오민석2017/04/06 10:44 그리운 명륜여인숙 오민석 잠 안 오는 밤 누워 명륜여인숙을 생각한다 만취의 20대에 당신과 함께 몸을 누이던 곳 플라타너스 이파리 뚝뚝 떨어지는 거리를 겁도 없이 지나 명륜여인숙에 들 때 나는 삭풍의 길을 가고 있음을 몰랐네... [김은숙] 사람들의 길2017/04/03 17:13 족자에서 사는 김은숙 작가가 <깡통의 수다>를 데일리인도네시아에 연재합니다. 문득 자신의 삶이 깡통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깡통 속에 무엇을 담고 있는 지 스스로 궁금해졌다고 합니다. 김 작가는 족자에서 사업을 하는 남편을 내조하고 사남매를 키우면서 ... 바띡, 느린 영혼의 여행 ①2017/04/03 16:25 글: 사공 경(한*인니문화연구원장) 바띡(Batik)에는 시계의 시간이 아니라 자연의 시간이 흐른다. 철학의 시간이 흐른다. 바띡은 한없이 느린 시간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 느린 시간이 주는 고해성사를 통해 바띡 만드는 여인들은 철학자가 된다. 느린 시간의 아름다움을 통... [이성수]새벽에 시장 가면-황보출2017/03/29 20:09 새벽에 시장 가면 황보출 새벽시장 가면 장꾼들이 꽉 찼다. 시골 아주머니들도 많고 뜨끈한 김치국밥 파는 분들도 많다. 나도 시장에 채소 팔러 온 사람이다. 검은 털신 신고 검은 비닐봉지도 같이 신었다. 새벽바람 불어 춥다. 나... 발리 새해 ‘녀삐’ 소란과 침묵이 교차하는 시간2017/03/27 17:22 발리 힌두교의 새해인 녀삐(Nyepi)는 소란스러운 축제와 침묵과 절제의 시간이 함께 하는 축제다. 녀삐는 발리 힌두교 사카 달력의 새해 첫 날로 올해는 양력 3월 28일이다. 절기 상으로는 춘분이 있는 달에 초생달이 뜨는 날이다. 모든 일상활동이 멈추는 녀삐...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 (2)2017/03/24 15:03 2. 스리비자야 왕국과 경쟁 왕국들 글: 양승윤 한국외대 명예교수 / 가자마다대 초빙교수 다음글은 2017년 3월 2일자 불교평론에 게재된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라는 제목의 글을 불교평론으로부터 허락을 받아 데일리인도네시아에 연... [이성수] 섬 - 이경애2017/03/23 12:47 섬 이경애 그대의 선한 눈물이 나의 왼쪽 가슴으로 들어와 측은한 내 심장을 에둘러 흐르는 강 하나를 만드는 동안 나는 조금씩 솟아올라 그대의 섬이 되었다 ------------------------------------- 어쩌자고 강을 만들고, 어쩌자고 섬이 될까? 그대의 ...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 (1)2017/03/22 18:05 1. 믈라유(Melayu) 문화권의 개요 글: 양승윤 한국외대 명예교수 / 가자마다대 초빙교수 다음글은 2017년 3월 2일자 불교평론에 게재된 '인도네시아와 주변 믈라유 문화권의 불교'라는 제목의 글을 불교평론으로부터 허락을 받아 데일리인도네시아에 연재합니... [이성수] 칡꽃 - 이진욱2017/03/15 13:09 칡꽃 이진욱 첨탑을 타고 오르는 칡넝쿨 끝이 보이지 않는다 자신이 무모한 줄 모르고 고압에 닿을 때까지 사력을 다해 기어오른다 사랑을 위한 등정이라면 말리고 싶다 저긴, 너무 위험한 길이다 꽃을 피우기 위해 몇 볼트의 벼락이 필요할까 뿌리에서 ... "인도네시아를 들여다 보면 인도가 보인다"2017/03/13 05:42 글 : 신성철 데일리인도네시아 대표 "인도가 아니고 인도네시아입니다." ‘인도’라는 부분이 같아 인도와 인도네시아를 구분 못하는 한국사람들이 꽤 있다. 동남아시아 대국인 인도네시아의 어원은 인도를 뜻하는 라틴어 ‘인두스’(Indus)와 섬을 뜻하는 ... [이성수] 못에 대하여-정충화2017/03/08 13:19 못에 대하여 정 충 화 구두를 신고 집을 나서는데 발뒤꿈치가 불편하다 구두 속에 모래가 들어갔나? 신발을 탁탁 털고 신었는데 몇 걸음 못 가 발바닥이 또 따끔거린다 허리를 꺾고 발의 우물 속을 들여다보니 작은 못 하나가 솟아올라 있다 ... [이성수] 첫사랑 - 고영민2017/03/02 01:31 첫사랑 고영민 바람이 몹시 불던 어느 봄날 저녁이었다 그녀의 집 대문 앞에 빈 스티로폼 박스가 바람에 이리저리 뒹굴고 있었다 밤새 그리 뒹굴 것 같아 커다란 돌멩이 하나 주워와 그 안에 넣어 주었다 첫사랑은 상투적이다. 다 뻔... [양승윤칼럼] 순다족 이슬람의 순수성2017/03/01 15:46 글: 양승윤 한국외대 명예교수(동남아학) 인도네시아 국장(國章) 가루다(Garuda)가 날카로운 두 발로 옹위하고 있는 국가의 상징 ‘비네까 뚱갈 이까’(Bhinneka Tunggal Ika)는 쟈바 고어로 ‘다양성 속의 통일’이라는 뜻이다. 이 나라는 세계 최대의 도서국가로 17,508개... [김은숙] ‘오늘도 꽃이 피었습니다.’2017/02/27 12:11 족자에서 사는 김은숙 작가가 <깡통의 수다>를 데일리인도네시아에 연재합니다. 문득 자신의 삶이 깡통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깡통 속에 무엇을 담고 있는 지 스스로 궁금해졌다고 합니다. 김 작가는 족자에서 사업을 하는 남편을 내조하고 사남매를 키우면서 ... [이성수]개 같은 사랑-최광임2017/02/23 22:08 개 같은 사랑 최광임 대로를 가로지르던 수캐 덤프트럭 밑에 섰다 휘청 앞발 꺾였다 일어서서 맞은편 내 자동차 쪽 앞서 건넌 암캐를 향하고 있다, 급정거하며 경적 울리다 유리창 밖에 개의 눈과 마주쳤다 저런 눈빛의 사내라면 나를 통째로 걸어도 좋... [이성수] 폭우-이창훈2017/02/15 17:35 폭우(暴雨) 이창훈 지금껏 나의 사랑은 그런 것이었다 서서히 젖을 새도 없이 젖어 세상 한 귀퉁이 한 뼘 처마에 쭈그려 앉아 물 먹은 성냥에 우울한 불을 당기며 네가 그치기만을 기다리던, 작달비도 비꽃으로 시작된다. ... [이성수]꽃의 일-박미라2017/02/08 12:50 꽃의 일 박미라 옻닭을 먹으러 간 것 또한 꽃의 일이어서 우리도 꽃 필 궁리 좀 하자는 말에 꽃? 꽃! 눈 꼬리 사물사물 접으며 뜨거운 살점을 뜯었다 바람도 입맞춤도 깨우지 못한 살갗을 들추고 한 순간 열꽃 핀다, 피었다, 피면서 바로 만개다 피고는... [특집]“자카르타 한식당의 경쟁자는 한식당이 아니다”2017/02/07 15:59 <편집자주> ‘2017 자카르타 한식당 이야기’는 인도네시아 현지의 한식당 운영자와 조리사, 식자재공급회사와 외식 프랜차이즈 운영자 등 관계자들과의 인터뷰와 연구모임인 인도네시아포럼에서 논의된 팩트를 근거로 작성되었다. 2017 자카르타 한식... 처음12345678910다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