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책이 답하다4] 인도네시아의 중국계 무슬림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책이 답하다4] 인도네시아의 중국계 무슬림

기사입력 2021.09.02 14:04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책이 답하다 4] 인도네시아의 중국계 무슬림

글: 조연숙 데일리인도네시아 편집국장


 인도네시아에서 중국계 무슬림은 종교와 종족을 초월한 화합의 상징으로 여겨진 적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인도네시아인에게는 중국인이라고 배척당하고 중국인에게는 무슬림이라고 배척당하는 이중 차별에 놓인 존재이기도 합니다. 15세기 무렵부터 중국인 상인들은 무슬림으로 인도네시아로 오기도 했고 비무슬림으로 왔다가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중국계 공동체 내에서 무슬림으로 분류되는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중국계 무슬림에 대해 <화교 이야기>에서 정리해 문답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30일 화교이야기.jpg

 

<책 소개> 

  제목: 화교 이야기 중국과 동남아 세계를 이해하는 키워드  

  저자: 김종호 

  출판사: 너머북스 

  출판일: 2021년 01월 29일


 

<묻고 답하기>  

 

묻다) 인도네시아에 사는 화교는 불교, 기독교, 유교만 믿을까?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도 있을까?

 

답하다) 인도네시아 화교 중에도 적지만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이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소수에 속하는 중국계에서도 무슬림은 드물기 때문에 소수 중에서 소수라고 불린다.

 

묻다) 인도네시아의 중국계 무슬림은 언제부터 있었나?

 

답하다) 15세기 무렵부터 중국 남부 지역의 푸젠이나 광둥에서 건너온 중국인 상인들이 주요 거점인 자바섬 북부지역에 자리 잡는 과정에서 상당수가 무슬림 공동체에 스며들기 위한 전략으로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몇몇 중국인 상인은 지배계층과 혼인을 통해 이슬람화하면서 당시 자바 북부 이슬람 세력의 지배계층을 형성하기도 했다.

 

묻다) 인도네시아로 간 중국인들이 이슬람화한 이유는?

 

답하다) 15세기 전후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 이슬람 상인의 위력이 가장 셌고 도서부 동남아시아 지역의 이슬람화가 가속되면서, 상당수의 중국계 상인이 결혼 및 개종을 통해 지역사회에 동화하고자 했다.

 

묻다) 15세기 전후 동남아시아에서 이슬람 상인의 위력은 어느 정도였나?

 

답하다) 이슬람 상인은 유럽-서아시아-남아시아-동남아시아-동북아시아로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를 장악하고 있던 세력으로 ▲당시 이슬람 세력이 세계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었고 ▲이슬람 상인의 상업 및 금융 기술이 다른 지역에 비해 발달하여 있었으며 ▲동양과 서양의 상품을 교역하는 유일한 상인 그룹이었다. 이슬람 상인들은 상업 행위를 할 때 이슬람 법률에 기반한 상업 관행을 유지했고, 말레이와 인도네시아 지역에서 오랑 라웃(Orang Laut)이라 불리던 현지 해상민족과 중국인 상인도 이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 

 

묻다) 15세기 무렵 형성된 자바 북부 항구도시의 역할은?

 

답하다) 현재 인도네시아 자바섬 북부 해안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드막, 수라바야, 끈달 같은 항구 도시들이 15세기 무렵 형성된다. 이들 항구 도시들은 동서 교역의 주요 교통로인 말라카와 향신료 주산지인 말루쿠제도를 연결해 주는 중개지역 역할을 했다.

 

묻다) 인도네시아의 이슬람화 과정은?

 

답하다) 자바와 수마트라 및 부속 군도, 보르네오섬 등 지역의 이슬람화는 13세기 후반을 그 시작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도계 이슬람 상인이 직접 동남아시아에 이슬람교를 전파했고, 15세기 전후로 무슬림이 된 중국인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중국인들도 인도네시아와 무슬림들을 연결하며 이슬람을 퍼트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6세기 즈음에는 자바섬 북부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아랍, 인도, 말레이, 중국인 등 다인종 이슬람 공동체가 형성된다. 이슬람이라는 종교와 교역을 매개로 서로 다른 종족적 배경을 지난 상인들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룬 것.

1572년 자바 최초의 이슬람국가 드막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바 북부 항구 도시들 간 이슬람 연합세력이 힌두교와 불교 중심의 마자파힛 왕국을 무너뜨리고 자바 지역을 장악한다. 이를 계기로 중부자바에는 마타람 술탄국, 서부자바에는 반뜬 술탄국이 형성되고 자바섬의 이슬람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묻다) 정화(쩡허) 제독의 남해대원정이 인도네시아에 미친 영향은? 

 

답하다) 정화 제독의 남해대원정은 명나라 때인 1405년부터 7차례나 진행됐다. 정화는 동남아시아의 말라카를 거쳐 자바에도 머물게 되는데, 당시 자바 지역에 있던 중국계 이슬람교도들을 만났을 뿐 아니라 자바 지역과 말라카 주변 말레이 세계의 이슬람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정화의 이름을 딴 무슬림 사원이 팔렘방, 즘버르, 반자르마신, 수라바야 등 여러 곳에 분포한다. 정화사원은 중국의 도교사원처럼 지어진 이슬람 사원이고, 내부 종교행사를 중국어로 진행하는 등 화교로서의 정체성 강조하고 있다. 

 

묻다) 19세기 이후 중국계 이슬람 공동체가 소수 그룹으로 급격하게 전락한 이유는?  

 

답하다) 자바섬을 중심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한 정통 이슬람교의 확산, 반화교 정서, 민족주의 확산; 중국에서 이주하는 화교의 급증과 화교들이 본국과의 관계에 더욱 집중하면서 현지화 노력이 약해진 점; 중국계 공동체와 원주민 공동체를 분리하는 네덜란드 식민정부의 분할통치 전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묻다) 중국계 무슬림은 얼마나 되나? 줄어들까 늘어날까? 

 

답하다) 중국계 공동체 내에서 무슬림으로 분류되는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1983년 통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전체 화교 220만 명 가운데 무슬림은 0.5% 정도였으나, 2010년에는 260만 명 가운데 5% (약 13만 명)로 늘었다. 중국계 가정 내에서도 구성원의 종교가 달라지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3세대, 4세대 화교 후예는 현지 무슬림과 함께 교육받고, 생활하며 일하는 과정에서 현지화 하면서 개종하기도 하고, 혹은 결혼을 통해 개종하기도 한다.  

 

묻다) 중국계 무슬림이 겪는 어려움은? 

 

답하다) 중국계 무슬림은 인도네시아인들에게는 중국인이라고 배척당하고, 다른 중국계에게는 무슬림이라고 따돌림을 당하는 이중 차별 속에 놓여있다. 심지어 무슬림임을 밝힐 경우 가족 사이에서 따돌림을 당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어릴 때 개종을 하고도 감추며 사는 사람도 있다. 

 

묻다) 중국계 무슬림은 어떤 정체성을 갖나? 

 

답하다) 무슬림 율법에 따라 돼지고기는 먹지 않지만, 음력설을 쇠는 등 문화적으로 복잡한 정체성을 드러낸다. 

 

묻다) 중국계 무슬림은 어디에서 기도하나? 

 

답하다) 중국계 무슬림들은 그들끼리 모스크를 짓고 중국어로 신께 경배를 드리는 등 그들만의 공동체를 만들기도 한다. 2000년대 들어서는 중국계 무슬림 협회(Indonesia Chinese Muslim Association PITI)가 형성되는 등 그들 스스로 집단화, 제도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묻다) 중국계 무슬림의 미래는? 

 

답하다) 중국계 무슬림은 인도네시아 국가 통합과 조화의 적절한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부상에 따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중국계이지만 무슬림인 이들을 중국-인도네시아 간 관계의 연결점으로써 상징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이들이 소수 중의 소수 그룹이라는 딱지를 벗을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끝) 

 


<저작권자ⓒ데일리인도네시아 & dailyindonesi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