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요소 도입선 다변화 굳어진다…인도네시아산 2.9%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요소 도입선 다변화 굳어진다…인도네시아산 2.9%

기사입력 2025.02.03 14:15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중국산 비중 2023년 88%서 작년 27%로 급감…정부, 제3국 수입 지원

'국산 요소' 생산 재개도 1분기까지 결정…정부 생산 지원 검토

 

한국의 산업·차량용 요소 수입국 다변화 추세가 굳어지면서 인도네시아산 비중이 2.9%가 됐다. 

 

3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작년 한국은 35만8천197t의 산업·차량용 요소를 수입했다.

 

한국은 과거 중국에서 대부분의 산업·차량용 요소를 수입했지만 정부의 각종 정책 지원 속에서 수입 업계의 다변화 노력이 더해지면서 중국산 비중이 작년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수급 불안 때마다 국내에서 되풀이되던 차량용 '요소수 대란' 사태의 추가 발생 가능성이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중국산 산업용·차량용 요소 수입 비중은 2023년까지만 해도 88.1%로 주요 수입국 중 가장 높았지만 작년에는 27.1%에 그쳤다.

 

작년 산업용·차량용 요소 수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베트남(53.1%)이었고 다음으로 중국(27.1%), 일본(8.8%), 카타르(4.7%), 사우디아라비아(3.4%), 인도네시아(2.9%) 등 순이었다.

 

중국산 비중이 급감한 것은 정부의 요소 수입 다변화 지원 정책 속에서 수입 업계가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로 도입선을 적극적으로 대체한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산요소.jpg
중국산 차량용 요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부는 우리나라의 중국 요소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중국발 수급 불안 때마다 국내 영향이 크다고 보고 중국 외 국가에서 요소를 수입할 때 물류비 단가 차액의 50%를 보조하는 현행 정책을 폈다.

 

롯데케미칼 등 주요 수입 기업이 이에 보조를 맞추면서 2023년 5.2%에 그쳤던 베트남산 비중이 작년 53.1%로 급증하면서 중국산을 상당 부분 대체했다.

 

정부는 이 같은 요소 수입 다변화 추세가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상품 가격 차도 일부 보전하기로 했다.

 

정부는 차제에 '요소수 대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요소 국내 생산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차량용 요소수의 원료이자 농업용 비료로 쓰이는 요소는 만드는 데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경제성이 낮아 더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아 전량 수입한다. [연합뉴스]

 

 

<저작권자ⓒ데일리인도네시아 & dailyindonesi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