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전직 대기업 간부의 죽음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전직 대기업 간부의 죽음

기사입력 2012.05.04 12:49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63세의 윌리 로만은 성실하게 노력하여 세일즈맨으로서 인정을 받은 후, 언젠가는 자신의 독자적인 사업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 속에 가정적인 아내와 두 아들을 부양하며 오직 성공을 향한 강박관념을 안고 살아간다. 그리고 할부로 장만한 집은 10년이 지나면 자기소유가 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로만의 이러한 꿈은 거품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실적주의 산업사회에 휘말리면서 구시대적인 처세술은 벽에 부딪히며, 로만의 소득은 줄기 시작하고, 결국 삼십 년 넘게 근무한 회사로부터 해고를 당하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믿었던 아들마저 빗나가기 시작하여, 비통, 무력감, 그리고 상실한 인생에 대한 회한은 그로 하여금 자포자기에 빠지게 한다. 그의 머릿속에는 지난 전성기 시절의 환상과 현실의 냉혹함이 교차되어 착란상태를 일으키며 한밤 중에 전속력으로 자동차를 몰아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만다.
그의 죽음으로 인해 가족에게 안기게 될 보험금은 주택할부금 마지막 분까지 충당할 수 있는 금액이었다.


이상은 미국의 저명한 극작가인 아서 밀러의 세일즈맨의 죽음이라는 1948년도 작품의 줄거리이다. 그런데 우리 한인사회는 최근 몇 년 사이세일즈맨의 죽음을 연상시키는 유사한 사례들을 자주 접하고 있다. 조미료 회사인 M사 부사장 출신의 K, K그룹 임산직에 있던 N, 신발제조업체 D사의 고위간부를 지낸 K, S그룹 신발업 자회사 출신의 H, H건설사 출신의 L, 그리고 가장 최근인 3월 초, 동부깔리만딴주 발릭빠빤 자택에서 잠에서 영원히 깨어나지 못한 K사 출신의 K씨 등이 그들이다.


그런데 이들간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인도네시아 진출기업 기준으로 보면 모두가 대기업에서 간부를 지낸 전력을 가지고 있으며, 세상을 하직할 당시에는 개인사업체를 운영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60세 전후의 연령대로서 사회적으로, 가정적으로 짊어져야 할 책임이 정점에 달해, 사업상 스트레스와 가정적인 문제가 누적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대기업이라 함은 조직에 의해 움직이는 집단이다. 각 구성원들은 그 집단의 업무를 분담 받아 정해진 영역 내에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한다. 그가 이룩한 성과가 소속사의 발전과 이익창출에 기여하였다면 그는 이에 상응하는 대우와 보상을 받게 된다. 그래서 때로는 사생활까지 희생해가며 회사일에 혼신의 힘을 쏟게 된다.


그러나 모두가 선택 받는 것은 아니다. 소위 낙오자 대열로 떨어질 수도 있고 웅지를 품고 아예 미리 회사를 박차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제부터 그는 자신의 회사 직원들에 대해 모든걸 책임지는 오너의 입장으로 바뀌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때론 주머니 안에서 잡히는 동전잎까지 만지작거리며 웬 직원 급료일이 이렇게 빨리 돌아오는지를 푸념하기도 한다.


이들 중 일부는 성공의 대열에 합류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대기업에 몸담고 있을 때와 스스로 사업을 꾸려갈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과거 대기업에서 향유하였던 지위와 혜택은 단절되었고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도 달라졌다.


지난 3월에 60대 초반의 나이에 저 세상으로 떠난 K씨는 D그룹을 거쳐, K기업 깔리만딴 현장에서 중역까지 지냈다. 그리고 10년 전에 K사를 떠나 남들이 다 한다는 석탄 트레이딩 사업에 뛰어 들었다. 위험요소가 많은 첫 사업에서 그도 실패의 쓴맛을 보며 채권자를 피해 다니며 한동안 은신의 시간을 보내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그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사업을 하고 있었기에 그의 죽음은 안타까움을 더해 주고 있다. K씨의 갑작스런 비보를 접한 인근 K사의 경영진은 신속하게 담당부서 간부를 빈소로 보내전직 중역에 준하는 예우를 갖춰 한국으로의 운구 등 어려운 절차를 도맡아 처리해 주었다. 이미 10년 전에 그가 K사를 떠난 시간적 공간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필자는 우연히 K사의 현장 초청강의에 출강 중, 이 과정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많은 것을 느끼게 되었다. 지금 한인사회에도 K씨와 같은 전직 기업간부 출신들이 상당수 개인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 그들 중 과연 몇 사람이나 그런 재앙을 당했을 때 K씨와 같은 예우를 받을 수 있을까? 필자는 K사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홍보실에서 준비한 회사소개 영상을 보았다. 회사의 현황과 실적은 자카르타에서 듣던 소문대로였지만기업의 사회적 공헌직원 복지후생부문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


그런데 그 다음날 진행된 나의 강의 원고 맨 마지막 페이지에 준비한오블레스 노블리주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부분은 건너뛸 수밖에 없었다. 오래 전에 이미 회사를 떠난 전직 직원 상조사를 최대한의 예우를 갖춰 돌봐주는 한가지 사실만 보아도 다른 것은 불문가지일 것이기 때문이었다. 스피드 보트에 몸을 싣고 바다를 건너 오는 귀가 길에, “괜히 공자 앞에서 문자 쓰지 않길 잘 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글 : 김문환 / 칼럼니스트

<상기 글은 재인도네시아 한인회에서 발행하는 2012년 4월호 '한인뉴스'에 게재된 내용을 필자의 동의를 받아 전재했음>

[데일리인도네시아 기자 dailyindo@gmail.com]
<저작권자ⓒ데일리인도네시아 & dailyindonesi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